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요약
개요 및 유의사항
  • 초중고사교육비조사는 사교육비 지출을 체계적으로 파악하여 교육정책 및 관련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기 위함
  • 본 내용은 통계청이 교육부와 공동으로 전국 초중고 약 3,000여 학급을 대상으로 실시한 2024년 초중고사교육비조사 결과임
  • 사교육비는 초중고 학생들이 학교의 정규 교육과정 이외에 학교 밖에서 받는 보충교육을 위해 개인이 부담하는 비용임
    • 학원수강, 개인과외, 그룹과외, 방문학습지, 인터넷 및 통신강좌 등의 수강료(교재비 포함) 지출 비용을 의미함
    • 일반교과(국어, 영어, 수학 등) 및 논술, 예체능(음악, 미술, 체육) 및 취미/교양, 진로/진학 학습상담 비용 등임
    • 다만, 방과후학교 비용, EBS 교재비, 어학연수비 등은 사교육비 범위에 포함되지 않으며 별도 항목으로 구분함
  • 사교육비 금액은 물가 상승분이 포함된 명목 금액임
  • 동 조사는 학생(개인)단위로 조사되므로 가구단위 통계와 차이가 있음
  • 어학연수는 연간화가 적용되지 않음
  • 표본조사 결과로 상대표준오차를 고려한 해석이 필요함
  • 통계표에 수록된 숫자는 각각 반올림되었으므로 하위항목 금액의 합계가 실제 합계와 일치하지 않을 수도 있음
1. 사교육비 총액은 약 29조 2천억원으로 전년대비 2조 1천억원(7.7%) 증가
  • 학교급별 초등학교 13조 2천억원, 중학교 7조 8천억원, 고등학교 8조 1천억원
  • 전년대비 초등학교 6.5%, 중학교 9.5%, 고등학교 7.9% 증가
  • 학생수 변화: (23년) 521만명 -> (24년) 513만명으로 8만명, 1.5% 감소
2. 사교육 참여율은 80.0%(1.5%p 증가), 주당 참여시간은 7.6시간(0.3시간 증가)
  • 학교급별 사교육 참여율은 초등학교 87.7%, 중학교 78.0%, 고등학교 67.3%, 전년대비 초등학교 1.7%p, 고등학교 2.7%p 증가, 중학교 0.9%p 증가
  • 참여시간은 초등학교 7.8시간, 중학교 7.8시간, 고등학교 6.9시간, 전년대비 초등학교 0.3시간, 고등학교 0.4시간 증가, 중학교 0.2시간 증가
3. 전체학생의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47만 4천원이고, 참여학생은 59만 2천원 전년대비 각각 9.3%, 7.2% 증가
  • (전체학생) 초등학교 44만 2천원(4.4만원, 11.1% 증가), 중학교 49만(4.1만원, 9.0% 증가), 고등학교 52만(2.8만원, 5.8% 증가)임
  • (참여학생) 초등학교 50만 4천원(4.1만원, 9.0% 증가), 중학교 62만 8천원(3.2만원, 5.3% 증가), 고등학교 77만원 2천원(3.3만원, 4.4% 증가)임
4. 일반교과 과목의 전체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35만 8천원이고, 참여학생은 55만 1천원으로 전년대비 각각 9.8%, 6.4% 증가
  • (전체학생) 영어(14.1만원), 수학(13.4만원), 국어(4.2만원), 사회과학(2만원) 순 전년대비해서 영어(10.4%), 국어(10.0%), 수학(10.0%), 사회과학(5.4%) 증가
  • (참여학생) 영어(26.4만원), 수학(24.9만원), 국어(16.4만원), 사회과학(14.6만원) 순 전년대비해서 국어(10.7%), 수학(6.9%), 사회과학(6.6%), 영어(6.5%) 증가
5. 가구의 소득수준별로는 소득이 높을수록 사교육비 지출이 많음
  • 월평균 소득이 800만원 이상 가구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67만 6춴원이고, 소득이 300만원 미만 가국의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20만 5천원
  • 전년대비 각각 0.8%, 12.3% 증가
6. 부모의 경제활동 상태별로는 맞벌이 가국에서 사교육비 지출이 많음
  • 맞벌이 가구 학생 1인당 월평균 사교육비는 50만 2천원으로 전년대비 9.5% 증가
  • 아버지 외벌이 가구는 46만 4천원, 어머니 외벌이 가구는 31만 5천원
7. 월평균 사교육비 70~100만원 미만 지출한 학생 비중은 14.2%로 전년대비 1.6%p 증가
  • 월평균 사교육비 지출금액 구간별 학생 비중이 전년대비 50만원 미만 구간에서는 모두 줄었으나, 50만원 이상 구간은 증가함
8. 사교육 수강목적은 일반교과는 학교수업 보충, 예체능은 취미/교양/재능계발 비중이 가장 높음
  • 일반교과는 학교수업 보충(50.5%), 선행학습(23.1%), 진학준비(14.4%)에서 비중이 높으며, 전년대비 학교수업 보충(0.9%p) 등 증가, 선행학습(-0.9%p) 등 감소
  • 예체능은 취미/교양/재능계발(63.9%) 비중이 가장 높았으며, 전년대비 취미/교양/재능계발(0.9%p) 등 증가, 친구를 사귀기 위해서(-1.0%p) 등 감소
9. 늘봄학교/방과후학교 참여율 36.8%, EBS교재 구입비율 16.4%, 어학연수 참여율 0.7%
  • 늘봄학교/방과후학교 참여율은 전년대비 4.3%p 감소, EBS교재 구입비율은 0.3%p 증가, 어학연수 참여율은 0.2%p 증가
상세보기 및 관련링크